🔎도구의 사용법
- 임팩트의 측정은 간략하게, 구조화와 핵심지표(KPI) 추출, 성과 측정 데이터 수집으로 구성되어있습니다.
- 워크시트를 펼치고, 내용을 차례로 채워보세요. 프로그램의 미션과 핵심내용, 프로그램의 주요대상자 등은 누구인지, 어떤 사회문제를 해결하고 싶은 지를 먼저 작성해봅니다. 모든 단계를 유기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질문들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이를 투입자원부터 임팩트까지 5단계 흐름에 따라 분류하고 구조화해봅니다.
다음으로 달성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지표를 정량지표와 정성지표로 나누어 작성해봅니다. 지표를 작성할 때에는 SMART 기준도 놓치지 마시기 바랍니다. 단체의 기존 지표와 외부의 지표(예:IRIS 지표)를 참고하여, 정량과 정성을 혼합하여 만드는 것이 더욱 더 효과적입니다. 지표는 계속 수정할 수 있습니다.

*지표개발 체크리스트 참조하기(클릭)
*관련 아티클(임팩트 측정에 변화이론 200% 활용하기)
🔎도구의 사용 후기
- 기관에서 성과관리가 필요한 시기에 막상 계획하려니 막연함에 주춤거렸던 부분이 있었는데 이번 워크숍을 통해서 성과관리 개념&사례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려주셔서, 그리고 저희 기관에 맞춰서 실습해볼 수 있는 시간이 있었다는 것이 좋았습니다
- 데이터와 지표로 시작하는 성과관리 워크숍 참가자 00님
🔎관련 교육 보기 (클릭)
비영리 조직을 위한 임팩트 관리 도구 다운로드
성과관리 워크숍 후기 스케치
비영리 조직을 위한 임팩트 관리 도구
🔎도구의 소개
🔎도구의 사용법
다음으로 달성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지표를 정량지표와 정성지표로 나누어 작성해봅니다. 지표를 작성할 때에는 SMART 기준도 놓치지 마시기 바랍니다. 단체의 기존 지표와 외부의 지표(예:IRIS 지표)를 참고하여, 정량과 정성을 혼합하여 만드는 것이 더욱 더 효과적입니다. 지표는 계속 수정할 수 있습니다.
*지표개발 체크리스트 참조하기(클릭)
*관련 아티클(임팩트 측정에 변화이론 200% 활용하기)
🔎도구의 사용 후기
- 데이터와 지표로 시작하는 성과관리 워크숍 참가자 00님
🔎관련 교육 보기 (클릭)
비영리 조직을 위한 임팩트 관리 도구 다운로드
성과관리 워크숍 후기 스케치